명장의 손길로 태어나다, 소뮈르(Saumur)의 샤 드 라 디브(Chai de la Dive)

0
지난 6월 영국의 주류전문지 더 드링크 비즈니스는 프랑스의 루아르 와인이 2024년 수출 금액 약 2억 유로를 달성하며 2000년 이후 25년 만의 최고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기타 산지들이 0.7% 성장이라는 다소 정체된 수치를 보여준 반면 루아르 산지는 물량면에서 5%, 금액 면에서 5.9%를 기록하며 프랑스에서 가장 역동적인 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역동적인 산지에서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와인 메이커 호맹 기베르토(Romain Guiberteau)가 주축이 된 새로운 프로젝트 샤 드 라 디브(Chai de la Dive)의 첫 빈티지 와인들이 비노파라다이스를 통해 11월 국내에 상륙한다. 글 최정은 자료 제공 비노파라다이스     ***   호맹 기베르토(Romain Guiberteau)     소뮈르의 아이콘, 호맹 기베르토 프랑스의 루아르는 300개가 넘는 고성들이 즐비한 프랑스의 대표적인 관광지다. 하지만 총장이 1000km가 넘는 루아르 강을 따라 넓게 분포된 루아르의 와인산지들은 보르도, 부르고뉴, 샹빠뉴 등 프랑스의 다른 산지들에 비해 덜 알려져 있었다. 또한 대량 생산과 벌크 판매, 협동 조합 중심의 산업구조에 머물러 있었으며 판매 역시 프랑스 내수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루아르에 혜성같이 호맹 기베르토가 등장한 것이다.   루아르의 부르주(Bourges) 출신으로 변호사가 되기 위해 법학을 공부하던 호맹 기베르토는 어릴 적부터 가져왔던 와인에 대한 열망과 소뮈르의 와인을 세계에 알리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1990년대 할아버지가 계시는 소뮈르의 생 쥐스트 쉬르 디브(Saint-Just-sur-Dive) 마을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루아르 와인을 세계적인 반열에 올린 전설적인 생산자 나디 푸코(Nady Foucault)를 만나 직접 양조를 배웠으며 1996년에는 가족의 유산인 도멘 기베르토(Domaine Guiberteau)를 물려받아 본격적으로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는 루아르의 기존 와인 문법과 전혀 다른 방식을 채택했다. 우선 도멘의 모든 포도밭을 유기농으로 전환했고, 수확량을 대폭 줄여 오로지 품질에만 집중했다. 브레제(Brézé), 클로 데카르므(Clos des Carmes), 레 자르부아즈(Les Arboises) 등 소뮈르 고지대의 뛰어난 밭을 확보해 최고의 포도를 수확했으며, 자연 효모 발효, 최소한의 개입, 절제된 오크 사용, 여과 및 필터링의 최소화를 통해 와인의 개성과 순수성을 극대화했다.   슈냉 블랑(Chenin Blanc)의 세련된 산미와 숙성력, 그리고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의 소박하면서도 품격 있는 정교한 구조를 담아낸 그의 와인들은 고급 와인 시장의 입맛을 사로잡기 시작했고, 프리미엄 소뮈르 와인의 새로운 시대를 연 장본인으로 평가받으며 소뮈르의 아이콘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소뮈르 와인의 미래, 샤...

새로운 명품의 탄생, 포데르누오보 (PoderNuovo)

0
포데르누오보 CEO 지오반니 불가리(Giovanni Bulgari)     1884년 그리스 출신의 은세공사인 소티리오 불가리(Sotirio Bulgari)가 이탈리아에서 처음 시작한 브랜드 불가리(BVLGARI)는 강렬한 색감과 관능적인 곡선의 주얼리로 유명한 하이엔드 명품이다. 불가리 가문의 직계 후손으로...

‘테이스트 스페인 2025’, 스페인 와인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다

0
‘테이스트 스페인(Taste Spain) 2025’가 지난 10월 16일 목요일, 앰배서더 서울 풀만에서 개최되었다. 주한 스페인대사관 경제상무부, 스페인투자무역진흥청(ICEX), 알리멘토스 데 에스파냐(Foods from Spain)가 주최한 행사로 스페인의...

A way of life – WINE SOUTH AUSTRALIA

0
2025년의 가을은 남호주의 와인들과 함께 깊어진다. 와인리뷰는 남호주 주정부, GS25와 공동으로 11월 한 달간 남호주 와인 프로모션을 기획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수입되는 와인으로 언제나 손꼽히는 호주의 와인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남호주 와인들은 바로사 밸리의 쉬라즈로만 설명되기에는 너무나 많은 다양성과 가능성을 담고 있다. 이번 특집은 남호주 와인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우리 삶에 밀접하게 다가온 삶의 일부로서의 남호주 와인을 상세하게 소개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특히, 남호주 와인의 전문가인 토니 러브(Tony Love)의 칼럼을 시작으로 남호주의 18개 주요 산지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8개 지역의 산지들과 주요 와인들을 소개했다. 아울러, 본지에 기록된 와인들을 포함하여 총 23개 브랜드 74종의 와인들을 우리동네GS 어플 내 와인25Plus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다. 와인25Plus를 통해 구매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하여 12월에는 각각 서울, 판교, 대구에서 정수지 강사와 함께 마스터 클라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글 최정은, 심혜미, 정한나 사진 및 자료 제공 남호주 주정부, 각 수입사, I stock       ***       한국에서 호주 와인을 생각하면, 가장 먼저 남호주의 강렬한 레드 와인을 떠올릴 것이다. 이 와인들이 주목받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세계 시장에서의 명성과 견고한 입지, 그리고 프리미엄 와인으로서의 위상을 미뤄보면 남호주의 레드는 분명 인상적이다. 이 와인들이 남호주의 자부심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레드 와인의 명성 뒤에는,...

영국 최초, 최고의 스파클링 와인,나이팀버(Nyetimber)

0
지난 9월 26일 우리나라의 관문과도 같은 인천 공항에 위치한 인스파이어 리조트앤호텔의 글라스 하우스에서는 마치 유럽의 궁중 무도회를 연상시키는 화려하고도 품위 있는 와인다이닝 행사가 열렸다....

샤또 크리스티(Chateau Cristi) & 샴페인 롬바흐(Champagne Lombard) 이색 시음회(세계주류마켓 춘천)

0
수필가 피천득 선생의 첫사랑에 대한 아련한 추억의 장소이자, 덜컹거리는 기차에 몸을 맡겼던 젊은 여행자들에게는 가수 김현철의 노래를 떠올리게 하는 낭만의 상징인 춘천. 이제 21세기를...